본문 바로가기

회계공부

사채의 종류/ 전환사채에 대하여 알아보기/ 전환사채란 무엇인가

반응형

안녕하세요 ~ 지니아 입니다.

 

오늘 포스팅 내용은 전환사채에 대한 이야기로 해보려고 합니다.

 

재경관리사나 회계 자격증 시험을 공부하게되면 전환사채에 대한 파트가 있습니다.

시험문제로 자주 출제되는 분야인데요~

 

같이 알아볼게요~


●전환사채란??

 

전환사채는 전환사채를 소유한자가 일정한 조건 하에 전환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채입니다.

권리를 행사하게 되면 보통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.

 

전환사채를 소유한자가 희망하면 주식으로 전환이 가능하므로 일반사채보다는 유리한 조건으로 발행됩니다.

즉, 일반사채보다 표면금리가 낮게 책정되어 발행이 되는것입니다.

 

 

●상환할증금이란??

 

전환사채는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권이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상환기간 동안에는 일반사채보다는 낮은 이자율로 표시이자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.

즉, 발행자 입장에서 금융비용의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는거지요.

 

만약 전환사채 만기까지 주식으로 전환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다른 자금운용수단보다 낮은 전환사채의 이율에 대한 보상을 해주기 위해서 만기에 액면금액에 추가하여 지급하기로 약정을 하는데요~

이를 상환할증금이라고 하고, 이러한 발행 조건을 상환할증금지급조건이라고 합니다.

 

 

●전환권대가란??

 

전환사채는 일반사채와 전환권의 두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전환사채를 발행한 경우에는 발행금액을 일반사채에 해당하는 부채부분과 전환권에 해당하는 자본부분으로 분리해서

자본부분의 가치를 전환권대가로 인식합니다.

 


전환사채와 비교되는 사채로 신주인수권부사채가 있는데요~

 

신주인수권부사채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●신주인수권부사채

 

신주인수권은 유가증권의 소유자가 사전에 약정된 가격으로 보통주의 발행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.

신주인수권부사채는 이러한 권리가 부여된 사채를 말합니다.

 

신주인수권부사채는 전환사채와 기본적인 내용은 같지만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경우 별도의 주금납입이 이루어지고 사채는 만기까지 그대로 존속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.

 

즉, 사채를 발행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특저한 가격으로 발행주식을 살 수 있는 자격을 주는 동시에 만기까지 채권의 이자와 원금도 받을 수 있는 사채입니다.

다만 채권 표면이자율은 전환사채보다 낮습니다.

 

 


요즘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보다는 전환사채로 발행을 한다고 하는데요~

 

회계는 알면알수록 어려운 부분이 많은거같아요

 

공부도 계속 해야하고 ... 재경관리사 준비하면서 공부했던 내용들인데 시간이 지나면 다 잊어버리고 실무랑 연관시키려니

어려운 부분도 많았습니다.

 

 

앞으로 종종 회계공부를 하면서 관련 내용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.

 

좀 더 보완해서 도움이되는 정보로 찾아올게요~

반응형